반응형
새집증후군 유발물질 포름알데히드란?
인화점이 낮아 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나 가구/집에서 나오는 양은 매우 적어 직접적인 화재 원인이 되지는 않습니다. (물에 잘 희석되어 40% 수용액을 포르말린이라고 부름)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실내 건축자재, 가구등에 사용된 본드 등에서 주로 방출되며 온도와 습도, 건축물의 수명, 실내 환기율에 따라 방출량이 달라지게 됩니다. 지하나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된 포름알데히드는 잦은 환기 등으로 정화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
3. 가정에서의 주요 발생 원인
일반주택 및 공공건물에 많이 사용되는 단열재인 우레아수지폼(Urea Formaldehyde Foam Insulation : UFFI))과 실내가구의 칠, 가스난로 등의 연소과정, 접착제, 흡연, 생활용품, 의약품, 접착제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증상
- 눈의 자극, 최루성, 상부기도의 자극
- 기관지천식이 있는 사람에게서 심한 천식발작
- 기침, 폐의 압박, 머리가 무거움, 심장박동이 빨라짐
- 피부 발진, 가려움, 따가움
5. 피해 예방책
- 실내의 잦은 환기
- 무해한 실내 자재 사용 및 안전등급 가구
- 실내 공기정화 식물 및 온/습도 유지
- 베이크아웃
반응형
'[이슈]세상만사 > [이슈]생각공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 리디북스 100권 무료 전자책 이벤트 (0) | 2017.12.26 |
---|---|
삼양라면의 무리수 한국곰탕면(feat 운수좋은날) (0) | 2017.12.26 |
우체국 전기차와 경찰차 전기차 (0) | 2017.12.24 |
아재인증 추억의 과자 (0) | 2017.12.23 |
미국 SNS 난리난 UFO 동영상 (0) | 2017.12.23 |